티스토리 뷰

IT

이제는 비개발자도 앱을 만들 수 있다?

핏더스트리 2025. 3. 29. 22:39
728x90
반응형

이제는 비개발자도 앱을 만들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새로운 앱을 만들고 세상에 선보이기 위해서는 꽤 많은 사람들의 손을 빌려야 했어요. 아이디어만으로는 아무것도 시작할 수 없었고, 기획자가 요구사항을 정리하고, 디자이너가 화면을 만들고,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가 기능을 구현한 뒤, 마케터가 이를 시장에 알리는 구조였죠. 소규모 팀으로 시작한다 해도 최소 세 네 명은 모여야 의미 있는 MVP라도 만들어볼 수 있었어요.

 

그런데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어요. 다양한 AI 도구들의 등장 덕분에 한 사람이 거의 모든 영역을 다룰 수 있는 시대가 된 거죠. 즉, 아이디어만 있다면 기술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다는 이야기예요. 이번 글에서는 기획부터 디자인, 개발까지 비개발자가 직접 앱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흐름을 소개해볼게요.

 

 

기획은 이제 ChatGPT가 도와줘요

기획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 사용자 여정을 설계하는 일이에요. 예전에는 이런 작업을 하려면 관련 데이터를 찾고, 경쟁 서비스를 분석하고, 아이디어를 정리한 후 문서화하는 데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어요. 하지만 이제는 ChatGPT가 아주 강력한 도우미가 되어주고 있어요.

 

단순히 “무슨 앱을 만들면 좋을까?”라는 질문에 답하는 수준을 넘어서, 시장 동향을 리서치해주고, 타겟 유저의 페르소나를 정의해주며, UX 플로우를 작성해주고, 그 내용을 노션에 정리할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해주기까지 하죠.

 

또한, ChatGPT는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는 코드까지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엑셀이나 구글 스프레드시트보다 더 유연하게 아이디어를 수치화하고 분석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어요. 이전에는 전담 기획자 없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 모든 것들이, 이제는 한 사람의 질문과 클릭만으로도 가능해졌다는 점에서 큰 변화라고 할 수 있어요.

 

 

에셋부터 UI/UX까지 인공지능으로!

과거에는 앱 하나를 만들기 위해 디자이너가 꼭 필요했어요. 로고나 앱 아이콘 같은 브랜드 에셋부터 광고에 쓸 이미지나 영상, 그리고 실제 앱 화면을 구성할 UI 디자인까지 전부 사람이 손으로 그려야 했죠.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어요.

 

Midjourney, DALL·E, Leonardo.ai 같은 이미지 생성 AI는 텍스트만 입력하면 원하는 분위기의 이미지나 일러스트를 뚝딱 만들어줘요. 특정 캐릭터나 브랜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활용하고 싶다면 동일한 스타일로 수십 개의 이미지를 빠르게 만들 수도 있고요. 영상까지 만들고 싶다면 Runway나 Pika Labs 같은 생성형 AI 툴을 활용하면 몇 분 만에 짧은 광고 영상을 만들 수 있어요.

 

여기에 Figma 기반의 AI 도구인 Uizard나 Magician, 그리고 Creatie 같은 플랫폼을 활용하면 UI/UX 디자인까지도 직접 해볼 수 있어요. 텍스트 설명을 넣으면 앱 화면 레이아웃을 제안해주고, 버튼 위치나 콘텐츠 구성도 자동으로 배치해주죠. 예전에는 디자이너의 직관과 경험에 의존해야 했던 작업들이, 이제는 비개발자도 빠르게 테스트하고 결과물을 만들어볼 수 있는 영역이 된 거예요.

 

물론 디자인의 섬세한 감각까지 AI가 모두 대체할 수는 없지만, MVP 단계에서 실현 가능한 수준의 UI를 만드는 데에는 충분히 쓸만하다는 게 실제 사용자들의 평가예요. 복잡하고 비싸 보였던 디자인 작업도, 이제는 훨씬 가까운 일이 된 셈이죠.

 

이제는 비개발자도 앱을 만들 수 있다?

대망의 개발, 이제는 도전할 수 있어요

예전에는 앱 개발이라고 하면, 정말 멀게 느껴졌어요. 복잡한 문법을 공부해야 하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기술을 따로 배워야 했으며, 서버를 돌리고 배포하는 것까지 알아야 했으니까요. 하지만 지금은 비개발자도 “일단 만들어볼 수 있는” 시대가 되었어요.

 

코딩 자체를 도와주는 AI 도구들이 아주 많이 등장했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GitHub Copilot은 코드를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로그인 화면 만들어줘”라고 설명만 해도 알아서 코드를 생성해줘요. Cursor AI는 코드를 작성하고 수정하는 데에 특화된 에디터로, 자연어로 기능을 설명하면 코드가 바로 나오고 기존 코드도 자동으로 수정해줘요.

 

여기에 WindsurfTrae 같은 툴을 활용하면, 프론트와 백엔드를 아예 시각적으로 구성하고 연결할 수 있어요. No-code나 low-code 툴도 여전히 강력한 옵션이고요. 특히 앱의 초기 버전을 빠르게 만들고 실험하는 MVP 단계에서는 이 정도의 개발 수준만으로도 충분히 실행이 가능해요.

 

더 이상 ‘개발자 친구’가 있어야만 시작할 수 있는 시대는 아니에요. 필요한 만큼만 공부하고, 필요한 만큼만 AI에게 도움을 받아도,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앱이라는 형태로 현실에 꺼내놓을 수 있게 되었어요.

 

 

마치며...

기획, 디자인, 개발까지. 불가능해 보였던 일들이 지금은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영역이 되었어요. 물론 정교한 기능과 완성도 높은 제품을 위해서는 여전히 전문가들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이제는 비개발자도 혼자서 “일단 해볼 수 있는 시대”예요.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는 없어요. MVP 하나로 시작해서, 사용자의 반응을 보며 발전시키는 방식이 스타트업의 정석이기도 하니까요. 지금 바로, 도전해보세요!

 


세 줄 요약

  1. 기획, 디자인, 개발까지 AI 도구로 비개발자도 직접 해볼 수 있는 시대예요.
  2. Copilot, Cursor, Creatie, Runway 등 툴을 잘 활용하면 빠른 MVP 제작이 가능해요.
  3. 중요한 건 시작하는 것! 아이디어가 있다면 지금 바로 시도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