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리케이션이 성장하면서 데이터의 양도 많아지지만, 동시에 보안과 접근 제어의 중요성도 커집니다. 특히 사용자마다 보여줘야 할 데이터가 다를 경우, 즉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자신에게 해당하는 정보만 보여주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런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개념이 바로 Row-Level Security(RLS)입니다. 이름 그대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행’ 단위에서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단순히 전체 테이블을 보는 권한이 있는지 여부가 아니라, 그 안의 각 행(row)에 대해 ‘이 사용자가 이 데이터를 봐도 되는가’를 평가하는 방식이죠. RLS는 특히 멀티 유저 환경, 예를 들어 게시판, 채팅, CRM, 다중 테넌시 구조의 서비스에서 사용자별 데이터 분리가 핵심일 때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