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얼마나 운동해야 먹을 거 다 먹고도 살이 빠질까?

많은 사람들이 다이어트를 하면서도 “먹고 싶은 걸 마음껏 먹으면서 살을 뺄 수 없을까?“라는 고민을 해요. 흔히 “먹기 위해 운동한다”는 말을 하는 사람들도 있고, 반대로 “체지방 감량을 하려면 결국 식단 조절이 필수다”라는 이야기도 많죠. 과연, 원하는 음식을 제한 없이 먹으면서도 체지방률을 낮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체중과 체지방률이 결정되는 원리, 먹는 만큼 운동하면 균형이 맞을지 그리고 현실적으로 균형을 맞추는 방법을 정량적으로 계산해보려고 해요. 단순한 감이 아니라, 수학적인 접근을 통해 우리가 진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 확인해볼게요.

 


에너지 균형과 일일 에너지 소비량(TDEE) 이해하기

체중과 체지방률은 섭취한 에너지(칼로리)와 소비한 에너지(칼로리)의 균형에 의해 결정돼요. 섭취한 칼로리가 소비한 칼로리보다 많으면 체중이 증가하고, 반대의 경우 체중이 감소하죠. 이를 에너지 균형 법칙이라고 해요.

하지만 단순히 “적게 먹고 많이 움직이면 된다”라는 원리는 맞으면서도 틀려요. 왜냐하면 개인마다 기본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기초 대사량, BMR)와 활동을 통해 소비하는 에너지(활동 대사량)가 다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이루려면 먼저 자신의 총 에너지 소비량(TDEE, Total Daily Energy Expenditure)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해요.


TDEE 계산 방법

TDEE는 크게 두 가지 요소로 구성돼요.

  • 기초 대사량(BMR, Basal Metabolic Rate): 아무 활동을 하지 않아도 신체가 기본적으로 소모하는 에너지예요. 호흡, 체온 유지, 세포 재생 같은 기본적인 생명 활동을 위해 사용돼요.
  • 활동 대사량(Activity Expenditure): 일상적인 움직임과 운동으로 소비되는 칼로리예요. 운동뿐만 아니라 걷기, 서 있기, 집안일 같은 활동도 포함돼요.

 

BMR을 계산하는 공식(Harris-Benedict Equation)

남성: BMR = 88.362 + (13.397 * 체중) + (4.799 * 신장) - (5.677 * 나이)

여성: BMR = 447.593 + (9.247 * 체중) + (3.098 * 신장) - (4.330 * 나이)

 

 

활동 수준에 따른 TDEE 계산

BMR을 구한 후, 자신의 활동량에 맞는 계수를 곱하면 총 에너지 소비량(TDEE)을 계산할 수 있어요.

  • 거의 운동하지 않음 → BMR × 1.2
  • 가벼운 운동(주 1~3회) → BMR × 1.375
  • 중간 정도 운동(주 3~5회) → BMR × 1.55
  • 강도 높은 운동(주 6~7회) → BMR × 1.725
  • 매우 활동적(격렬한 운동 및 육체노동) → BMR × 1.9

 

예제 계산

35세 남성, 체중 70kg, 신장 175cm, 주 3~5회 운동한다고 가정해볼게요.

  1. BMR 계산: 88.362 + (13.397 * 70) + (4.799 * 175) - (5.677 * 35) = 1679 kcal
  2. TDEE 계산 (중간 정도 운동 수준 적용): 1679 * 1.55 = 2602 kcal


즉, 이 사람이 하루 동안 유지 칼로리(먹어도 살이 찌지도 빠지지도 않는 칼로리)는 2,602 kcal예요.

이제, 이 사람이 먹고 싶은 걸 다 먹으면 추가로 운동을 얼마나 해야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식 섭취량과 운동으로 소모되는 칼로리를 비교해볼게요.

 


먹은 만큼 운동하면 균형이 맞을까?

이제 본격적으로 먹은 칼로리를 운동으로 소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게요. 예를 들어, 우리가 일반적으로 먹는 음식이 얼마나 많은 칼로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것을 소모하기 위해 얼마나 운동해야 하는지 계산해볼게요.


대표적인 음식의 칼로리

  • 치즈버거 (1개) ≈ 500 kcal
  • 감자튀김 (중간 사이즈) ≈ 400 kcal
  • 콜라 (355ml) ≈ 140 kcal
  • 크림 파스타 (1인분) ≈ 800 kcal
  • 초코 케이크 (1조각) ≈ 450 kcal
  • 맥주 (500ml) ≈ 210 kcal


만약 한 끼를 치즈버거 + 감자튀김 + 콜라로 먹는다면 총 1,040 kcal를 섭취하게 돼요. 저녁으로 크림 파스타와 맥주를 추가로 먹는다면 하루 섭취량이 훌쩍 3,000 kcal을 넘을 수도 있어요.

 

운동으로 이 칼로리를 태우려면?

운동의 종류에 따라 소모하는 칼로리가 다르기 때문에 몇 가지 대표적인 운동을 기준으로 계산해볼게요.

운동 종류 소모 칼로리 (1시간 기준, 70kg 성인)

  • 걷기 (시속 5km) 280 kcal
  • 달리기 (시속 8km) 600 kcal
  • 자전거 (시속 20km) 500 kcal
  • 수영 (중강도) 700 kcal
  • 근력운동 (중강도) 400 kcal


위의 칼로리를 고려했을 때, 치즈버거 세트를 먹고 그 칼로리를 태우려면 다음 운동을 해야 해요.

  • 걷기 → 약 3시간 43분
  • 달리기 → 약 1시간 44분
  • 자전거 → 약 2시간 5분
  • 수영 → 약 1시간 29분
  • 근력운동 → 약 2시간 36분


이렇게 보면, 우리가 먹는 대로 운동해서 균형을 맞추는 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하루 종일 운동을 할 수는 없으니, 결국 음식 섭취를 조절하면서 운동을 병행하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이에요.

러닝


현실적으로 체지방률을 유지하려면?

먹고 싶은 것을 완전히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체지방률을 낮게 유지하려면, 식단과 운동을 균형 있게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해요. 단순히 “많이 먹고 많이 운동하면 된다”는 접근보다는 효율적으로 에너지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핵심이에요.

1) 식단에서 조절할 부분

  • 고칼로리 음식은 조절하되, 완전히 금지하지 않기
    • 좋아하는 음식을 완전히 끊는 것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어요. 대신, 일주일에 1~2회만 먹거나 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아요.
  • 포만감을 높일 수 있는 음식 선택
    •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사를 하면 포만감이 오래 지속돼요.
    • 예를 들어, 흰 빵 대신 통곡물, 일반 감자튀김 대신 구운 감자 같은 선택이 도움이 돼요.
  • 음료 칼로리 줄이기
    • 콜라, 주스 대신 탄산수, 아메리카노, 무가당 차를 마시면 하루 200~500 kcal 정도 절약할 수 있어요.

 

 

2) 운동 전략

  • 운동 강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 일주일에 3~5회, 1시간 정도 운동하는 것이 현실적인 목표예요.
    •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적절히 섞으면 칼로리 소모 + 기초대사량 증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어요.
  • 일상 속에서 활동량 늘리기
    • 운동할 시간이 부족한 경우, 계단 이용하기, 10분씩 걷기, 서서 일하기 등의 방법을 활용하면 하루 소비 칼로리를 늘릴 수 있어요.
  • NEAT(비운동성 활동 열생산) 활용하기
    • 가만히 있는 시간이 길면 칼로리 소비가 적어요.
    • 청소, 요리, 산책 같은 일상적인 움직임도 체중 유지에 중요한 요소예요.

 

 

3) 장기적인 습관 형성이 중요

먹고 싶은 것을 계속 먹으면서도 체지방률을 유지하는 사람들은 단순히 하루하루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습관을 형성하는 데 집중해요.

  • 운동을 꾸준히 습관화
    • 특정한 목표를 달성한 후에도 꾸준히 운동하는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 식단도 자연스럽게 조절하는 방식으로
    • 극단적인 다이어트가 아니라, 평소 식사 습관을 점진적으로 바꿔야 유지가 가능해요.

마치며...

우리는 흔히 “먹고 싶은 걸 다 먹으면서도 살을 뺄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지만, 현실적으로 이를 완벽하게 실현하기는 쉽지 않아요. 물론, 먹은 만큼 운동하면 되지만,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운동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어요. 단순한 칼로리 계산만 보더라도, 치즈버거 한 개를 태우려면 한 시간 이상을 달려야 하고, 하루 세 끼를 아무런 절제 없이 먹는다면 운동만으로 균형을 맞추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요.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굶어야 한다”는 뜻은 아니에요. 오히려 현실적인 대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죠.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활동량을 늘리고, 식단에서도 조금씩 균형을 맞춰 나가는 방식이야말로 장기적으로 건강한 체지방률을 유지하는 길이에요. 특정한 다이어트 방식이나 유행하는 방법론을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생활 패턴 안에서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핵심이에요.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깨닫게 돼요. 우리가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세상은 항상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큰 노력과 인내를 요구한다는 것이에요. 흔히 다이어트도, 건강 유지도, 심지어 인생의 많은 목표들도 “이 정도만 하면 되겠지”라고 생각하지만, 막상 해보면 그보다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돼요. 노력 없이 쉽게 얻을 수 있는 건 거의 없어요.

결국, 먹고 싶은 걸 다 먹으면서 살을 빼는 방법이 있다면 그것은 극단적인 운동량과 철저한 생활 습관이 함께 따라야 하는 것이고, 만약 그게 어렵다면 적당한 절제와 조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해요. 세상은 우리의 바람보다 더 많은 노력을 요구하지만, 그 노력의 과정이 결국 우리를 성장하게 만든다는 점도 잊지 않았으면 해요.

근력운동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AG more